1 관습적 인식과 표현을 자제한다 -대상에 대하여 지니고 있는 고정관념이나 산투적 인식에 의한 시창작 자제. 자동화된 인식이나 비창조적 표현등 2 피상적 표피적 인식과 표현을 자제 -대상의 내면을 구체적으로 깊숙이 들여다보지 않고 표피만을 수박 겉핥기식으로 보거나 인식하면서 장식적으로 표현하는 것도 자제해야 함 -대상에 대한 구체적 묘사가 없이, 막연하고 모호한 인식으로 쓴 작품은 그 진정성, 진실성을 의심받기 쉽다. 독자의 가슴에 감동이 없다 3 지나치게 주관적이고 사적인 표현 -대상과의 관계를 객관화시켜서 독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. 4 찰학적, 관념적 인식과 표현 -철학적 관념을 시적 표현으로 용해하지 않고 산문적으로 진술할 경우 어설픈 관념으로 떨어져서 시도, 찰학도 아닌 어정쩡한 것이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