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시적 적합한 대상 ㆍ 내가 살고 보고 일상적으로 겪고 있는 모든 것 ㆍ 시인이 시적 감흥을 받는 모든 것 ㅡ들여다 보면 모든 곳에 시가 있다 ㆍ"무엇을" 이 아니라 "어떻게" 이다 2 현실의 체험을 시적으로 구상 . 시적 대상에 대한 집중적 관찰 .현상을 있게하는 본질에 대한 과학적 사우가 아닌 시적 사유 .체험과 상상력 3체험과 상상력을 풍부하게 확대하자/소재의 확장 .시적 감동과 감흥은 모두 현실 속, 삶의 현장에서 나온다 . 현실적 경험을 시적 경ㅇ험으로 재구성 .체험에 주제의식이 작용되고 상상력이 보태져야 시가 된다 .상상력은 관계가 없어 보이는 것들에서 동질성을 발견하는 능력/류시화 4 자연현상 등을 소재로 한 시 1) 쑥/ 김제숙 *첫 행을 쓰고 싶어 겨우내 들썩였다 *땅의 경계 헐거워지자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