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문장에 나타난 뜻과 그 뒤에 숨어 있는 뜻이 같지 않게 비꼬아서 표현하는 것 * 언어적 반어: "표현된 것"과 "의미된 것"이 서로 충돌하게 하고, 모순되게 시 문장을 표현하는 방법 예) 김소월/ 가시리 1 하급반 교과서/ 김명수 아이들이 큰 소리로 책을 읽는다 나는 물끄러미 그 소리를 듣고 있다 청아한 목소리로 꾸밈없는 목소리로 ' 아니다 아니다' 하고 읽으니 '아니다 아니다' 따라서 읽는다 '그립다 그립다' 하고 읽으니 '그립다 그립다 따라서 읽는다 의기도 좋아라 하급반 교과서 활자도 커다랗고 읽기에도 좋아라 목소리 하나도 흐트려지지 않고 한 아이가 읽는 대로 따라 읽는다 **이 봄날 쓸쓸한 우리들의 책읽기여 우리나라 아이들의 목청들이여 **반어적 *극적 반어 2 목련에 대하여 3/ 박남철 1 국민..